호모코치쿠스 18
『강점 기반 리더십 코칭』
부제: 조직의 긍정심리 개발 가이드
원제목 : STRENGTH-BASED LEADERSHIP COACHING IN ORGANIZATIONS
An evidence-based guide to positive leadership development
저 자 : 더그 맥키
옮긴이 : 김소정
출판사 :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1판1쇄 발행 : 2020. 8. 20.
정 가 : 22,000원
판 형 : 152 X 225(신국판)
분 량 : 264쪽
ISBN : 979-11-89736-18-7 93180
■ 저자 소개
저자
더그 매키Doug Mackie
더그 매키 박사는 영국과 호주에서 25년 이상 활동한 경영심리학자이자 리더십 개발, 조직개발 및 임원 코칭 전문가이다. 그는 영국과 호주, 아시아의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진과 팀 코칭, 경력 개발 프로그램, 리더십 평가와 강점 진단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는 코칭 산업 발전에 있어 지도적 역할을 맡았으며, 혁신적이고 첨단 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 성과를 높이고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경영진 코칭, 증거 기반 솔루션과 리더십 코칭의 평가와 ROI의 중요성 등에 관한 연구를 국제 컨퍼런스와 주요 저널에 발표하였다. 그는 과거 호주 심리학회의 전략적 지도자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조직 내 코칭 지침 표준 호주 위원회의 멤버였다.
그는 긍정 리더십 개발 분야에 관한 특별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응용심리학자로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계속하였다. 특히 리더십과 조직개발에 대한 강점 기반 접근방식의 개발을 선도하여, 이 주제에 대해 폭넓게 발표하고 출판하였다. ‘강점에 기반을 둔 리더십 코칭이 혁신적 리더십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그의 연구는 2013년 영국 심리사회 연구자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역자
김소정
글로벌 전자상거래 기업의 마케팅 담당 임원을 역임했고 현재 IT 유통기업 임원으로 신규 사업을 이끌고 있다. 디지털 기반의 비즈니스 전문가이자 리더로서 쌓은 오랜 경험과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조직 내 코칭과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전문 비즈니스 코치로 입문하였다. 이화여대에서 중문학을 전공했고 가톨릭대 상담심리대학원에서 조직상담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코치협회KCA 인증코치KPC이자 국제코치연맹ICF 코리아챕터 회원으로 리더십 강의 및 임원/팀장 비즈니스 코칭을 진행한다. 강점을 기반으로 조직의 성과와 구성원의 성장을 견인하는 행복한 조직, 코칭 리더십, 여성 리더십 등에 관심이 많다.
■ 목차
추천사
역자 서문
저자 서문
감사의 글
1장. 강점기반 접근법 개요
개요┃현대 리더십 개발의 과제┃긍정 접근법의 역사┃부정성을 강조하는 이면에는 무엇이 있는가?┃리더십 행동의 진화┃재능의 후생유전학┃리더십에 대한 긍정 접근법의 기원┃긍정리더십 이론에 대한 현대 트렌드┃긍정리더십 개발에 대한 현대 트렌드┃코칭과 긍정심리학┃긍정리더십의 정의┃ 리더십 개발에 대한 강점 기반 접근방식의 이론적 근거┃ 강점 기반 접근법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구┃결론┃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2장. 강점: 정의 및 모델
개요┃도입┃강점 모델┃상태-특성 연속체를 통한 강점 차별화┃강점과 성과의 연결┃ 강점의 과도한 사용┃맥락에서의 강점┃강점과 의사결정 관용도┃결론┃생각해 볼 질문들 ┃참고문헌
3장. 긍정리더십 이론
개요┃도입┃리더십 행동의 기원┃긍정리더십 이론┃긍정리더십 개발 결과┃결론┃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85
4장. 강점 진단과 평가
개요┃도입┃강점을 진단하는 데이터 유형┃자기평가 대 타인평가┃심리측정이 부여하는 가치┃강점 기반 자기보고식 설문지┃다면평가 설문지┃구조화 인터뷰 방식┃평가와 개발방법론┃결론┃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5장. 긍정 리더십 개발의 효과 및 증거
개요┃도입┃코칭 효과의 증거┃효과적인 코칭 연구를 위한 과제┃긍정 접근법의 효과 및 증거┃결론┃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6장. 강점 개발
개요┃도입┃직업적 전문성 개발┃긍정적인 목표 선택┃포괄적인 강점 개발┃구체적인 리더십 강점 개발┃결론┃ 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7장. 조직 내 긍정리더십 개발을 위한 코칭
개요┃긍정리더십 개발 코칭의 핵심 요소┃변화 및 개발 준비도┃코칭의 이해관계자┃강점 기반 리더십 모델 선택┃다면피드백을 통한 개인 강점 파악┃코치이의 강점 기반 모델에 대한 이해┃코치이의 코칭 세션 준비┃코칭 프로세스┃코칭 변수 – 전달의 일관성┃코칭과 전략적 목표┃변화의 가시성┃변화의 지속 가능성┃신뢰할 수 있는 유효한 결과와 투자수익률┃리더십 코칭 평가┃결론┃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8장. 리더나 매니저를 위한 강점 기반 접근법의 활용
개요┃도입┃리더/매니저로서 강점 기반 접근법 선택┃조직 내 강점 기반 접근법의 활용을 결정하는 요소┃강점 기반 리더/매니저로서 역량 개발하기┃강점 기반 관리 마인드셋 개발하기┃긍정 코칭 접근법에 대한 반대┃강점 기반 접근법의 이점┃결론┃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9장. 팀 개발을 위한 강점 기반 접근법의 활용
개요┃도입┃이론적 토대┃팀의 강점 진단┃강점 기반 고성과 팀 구축┃결론┃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10장. 강점 기반 리더십 코칭의 맥락과 한계
개요┃도입┃강점 기반 접근법의 맥락┃수평적 대 수직적 리더십 개발┃강점 기반 리더십 코칭의 맥락과 한계┃연구/이론적 비판┃문화적 비판┃정치적 비판┃윤리적 이슈┃긍정리더십과 긍정심리학의 분리┃팔로워십의 이해┃효과적인 팔로워십의 특징┃강점 기반 실무연구자의 개발┃강점 기반 리더십 개발의 모범 사례┃결론┃생각해 볼 질문들┃참고문헌
색인
발간사
저자 및 역자 소개
■ 출판사 서평 및 특징
리더십 개발의 관점 전환이 필요한 시대!
세상에 리더십에 관한 책이나 교육 프로그램이 넘쳐난다. 양적 측면으로 보아 실제 리더십 역량도 비례하여 향상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도 리더십에서 비롯된 경영진의 탈선은 여전히 핫이슈가 되고 있다. 리더십이 소수 특권층이 가진 타고 난 재능이라는 제한된 신념은 이미 퇴색한 지 오래지만, 그 이후 수많은 리더십 개발을 위해 막대한 금액이 투입되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남아 있다. 그 이유는 대부분 교육이 리더의 개별 역량, 개발 수준, 조직적 맥락, 무엇보다 그들의 명확한 리더십 강점을 고려하지 않는 표준화된 형식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또 교육이 교육으로만 끝나서 조직에 돌아와 현업에서 지속해서 적용하는 과정이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강점을 개발할 것인가, 약점을 보완할 것인가?
개인이든 조직의 리더이든 대부분 사람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식별하지 못한다. 설령 안다 하더라도 강점에 집중하기보다 약점을 보완하는 데 더 관심을 두었다. 조직이 복잡해지고 요구 사항이 많아지면서 리더십 모델도 변화하고 있다. 표준화된 리더십 교육이나 약점에 초점을 두는 전통적인 방식은 바뀌어야 하고, 또 바뀌고 있다. 리더 개인의 필요를 반영하고 강점을 지향하며 맥락적으로 접근하는 개인화된 리더십 코칭이 지지를 받는다.
조직의 리더는 모든 면에서 뛰어난 다재다능한 사람이 아니라, 구성원을 독립된 개체로 인식하고 그들의 강점을 파악하여 팀에 필요한 역할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성장을 위해 지속해서 코칭해주는 사람이다. 더 분산된 리더십과 강점에 기반을 두며, 발전적이고 협력적인 접근방식으로 지원하도록 요구한다.
이 책은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으로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강점 기반 접근법을 제안한다. 긍정심리학은 초기에는 개인의 행복과 웰빙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몰입, 성취와 연결된 조직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으로 관심이 확장되어 강점기반 코칭으로 자연스럽게 발전했다. 그렇지만 강점 기반 접근법이 무분별하게 적용될 때 최고위층에서 발견되는 오만함과 과도한 긍정성이 결부될 수 있으므로 이 접근법의 부정적 측면도 다룸으로써 균형을 유지한다.
강점 기반 리더십 코칭의 이론과 실제 적용 전략을 제시한다.
책은 모두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긍정심리학과 강점 기반 접근법 역사적 배경을 설명한다. 2장에서는 강점이 무엇이고, 강점을 평가하고 개발하는 모델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리더십 개발에 관한 강점 기반 접근법 이론을, 4장에서는 강점의 측정하는 도구를 검토한다. 5장에서는 리더십 개발에 관한 긍정 접근법의 증거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이 책의 후반부인 6장부터는 전반부에서 다룬 개념과 이론을 적용하는 내용이다. 6장은 강점 중심 리더십 코칭의 핵심 과제인 강점을 파악한 다음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하는 내용을, 7장은 조직 내 강점 기반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 실행에 관한 내용이다. 8장에서는 강점 기반 리더이자 코치로 발전하는 방법과 확장 과제를 9장에서는 강점 기반 팀 개발 접근법을 소개한다. 강점 기반 접근법을 팀 구조, 팀 리더십, 긍정적인 팀 프로세스와 어떻게 통합할지에 대해 탐색한다. 마지막 10장에서는 강점 기반 접근법의 맥락과 한계, 비판을 어떻게 발전적으로 수용해나가야 하는지 사례를 다루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저자인 더그 매키 박사는 리더십 개발, 조직개발, 비즈니스 코칭 전문 경영심리학자로 영국과 호주에서 20년 이상 리더십 관련 연구와 코칭을 해왔다. 이론 연구와 실제 경험을 결합하고 긍정심리학과 강점기반 리더십 코칭이 혁신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깊은 통찰이 담겨 있다. 단순한 개념이나 이론이 아니라 개인과 조직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코칭 방법과 강점 식별 그리고 역량 강화에 대해 고찰한 이론적이면서도 구체적인 실용서라고 할 수 있다.
리더십 개발 분야에서 활동하는 코치, 컨설턴트, 인사담당자, 그리고 기업 리더들에게 고무적인 지침서이다.
코칭과 리더십에 관해 의미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임원과 팀 코칭에 적용할 수 있는 증거 기반의 입증된 기법을 소개하는 이 책은 코치, 인사담당자와 각 기업의 리더 등 리더십과 코칭 그리고 조직의 성과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본문 내용 중에서···
리더십을 포함한 응용심리학에서의 긍정주의 접근은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이 미국 심리학협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회장직을 수행하면서 행복, 탁월성과 최적의 인간 기능을 강조했을 때 다시 등장했다. (24쪽)
긍정리더십 모델들은 긍정 조직심리학의 두 가지 뚜렷한 영역을 끌어냈다. 첫째, 긍정 조직행동은 낙관주의optimism와 같은 측정 가능한 상태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진화했고, 리더십 개발을 목표로 한다(Luthans & Youssef, 2007). (중략) 이와는 대조적으로 긍정조직학은 미덕 같은 특성 구조의 분류와 식별에 좀 더 초점을 맞추었다. (35쪽)
상태-특성 연속체 모델은, 행복 같은 긍정 상태는 상대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지만 효과적인 강점으로써 필요한 지속성과 안정성이 부족함을 시사한다. 개발 준비도와 심리적 자본 같은 상태 수준의 강점은 훨씬 더 훈련 가능하며 리더십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성격 특성과 성격 강점은 정의상 더 오래 지속되지만 결코 고정된 것은 아니다. (56쪽)
긍정리더십으로 분류되려면 몇 가지 명시적인 이론 요소가 필요하다. 첫째로 강점, 즉 리더로서 탁월하고 건설적인 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둘째로 자신감이나 자기효능감 같은 개인 역량 측면이나 성과 산출물 측면에서 팔로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긍정리더십 이론의 목적은 자기 초월적self-transcendent이어야 한다. 즉 개별 리더의 자기이익self-interest을 초월한 목적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 (71쪽)
리더십 행동의 경우, 리더십 목표가 팔로워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평가와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리더십 행동들은 내부 성격 선호도가 아니라 외부 행동이기 때문에 가시성visibility과 관찰 가능성이 높아야 한다. (92쪽)
일반적으로 코칭, 특히 직장 코칭에 대한 증거가 빠르게 나오고 있다. 코칭이 효과적인 리더십 개발방법론이며, 훈련과 같은 다른 개발방법보다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는 다양한 증거들이 있다. 여러 연구를 통해 나타난 증거들은 코칭이 기본적인 방법론으로 리더십 효과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114쪽)
리더십은 코칭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과 프로세스를 통해 시간에 따라 개발될 수 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있다(Day, 2001; Day, Harrison & Halpin, 2012). (122쪽)
목표 설정은 성과를 향상하는 가장 확실한 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많은 연구는 숙련되고 구체적이며 측정 가능한 일치된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증명한다(Locke & Latham, 2002; Lyubomirsky, Sheldon & Schkade, 2005). (139쪽)
약점을 다루는 중요한 과제 가운데 하나는 한계가 있고 치명적인 결함 요소를 내포하고 있어서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단점과 이와 무관한 단점을 구별하는 것이다(Zenger et al, 2012). (147쪽)
변화의 가시성visibility은 리더십 코칭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자기-타인 정렬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더 그렇다. 조직에서 변화를 서로 다르게 인식한다는 중요한 증거가 있다(MacKie, 2015b). 이 변화는 코치이의 자기인식으로 어느 정도 조정된다. (169쪽)
조직에서 긍정 접근법이 활용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요소 가운데 하나는 조직이 리더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이다(Riddle & Pottier, 2011). 리더십을 대체로 개별적인 관점으로 생각하는 조직은 코칭을 특권층 소수의 지배력으로 본다. 반면 리더십을 좀 더 시스템적 관점으로 보는 조직은 코칭을 긍정 조직 문화의 핵심 요소이자 심지어 비즈니스 전략의 원동력으로 간주한다. (185쪽)
진정한 팀은 어느 정도 상호 의존성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성원은 안정되고 역할은 충분히 차별화되었다. 적합한 사람들에게는 강점을 포함한 필수 기술과 역량, 성실성 같은 성격적 측면, 그리고 사람과 상황에 대해 복잡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개념적 능력이 요구된다. 마지막 필수 사항은 설득력 있는 방향성 - 팀을 공통된 목적으로 묶는 명확하고 분명한 미션이었다. (205쪽)
리더는 수평적 영역과 수직적 영역에서 모두 발전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수평적 능력은 특정한 기술이나 능력으로 점진적으로 더 나아진다. 리더는 영향력이나 대중 연설에 더 많은 기술을 습득할 수는 있지만 여전히 이 영역 안에서 눈에 띄게 발전하는 것이다. 수직적 발전은 리더가 다른 발달 단계로 이동하여 더 넓은 관점을 가지고 이전의 리더십 행동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는 것이다(McCauley et al, 2006). (225쪽)
■ 출판사 정보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출판등록 2017년 3월 28일 제 2018-000274호
주소 서울시 마포구 포은로 8길 8 1005호
전자우편 hellojisan@gmail.com
문의전화 010-3753-0135(편집)
영업관리/도서주문 카운트북
전화 070-7670-9080
팩스 070-4105-9080
이메일 countboo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