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코치쿠스 19
『영화, 심리학과 라이프코칭의 거울』
원제목 : The Cinematic Mirror for Psychology and Life Coaching
편집자 : 메리 뱅크스 그레거슨
옮긴이 : 앤디 황, 이신애
출판사 :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1판1쇄 발행 : 2020. 9. 9.
정 가 : 28,000원
판 형 : 152 X 225(신국판)
분 량 : 508쪽
ISBN : 979-11-89736-19-4 93180
■ 편집자 소개
메리 뱅크스 그레거슨Mary Banks Gregerson
메리 뱅크스 그레거슨 박사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APA) 46분과(미디어심리학과) 회계 분야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APA 10분과(미학, 창의성 및 예술 분야)의 심리학 연구학회 협의회 대표를 역임했다.
역자
앤디 황
고교 시절 도미하여 뉴욕 공대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 미디어 생태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닐 포스트만Neil Postman의 지도하에 영화와 현대 기술의 발달이 인간의 도덕적 가치와 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뉴욕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세계적인 투자은행 미국 골드만삭스 사Goldman Sachs & Co에서 근무했으며, 2010년 귀국하여 연세대학교 상담심리코칭 석사와 박사Ph.D를 마쳤다.
현재 미국 커넬 대학교Kernel University 한국 캠퍼스에서 상담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영화로 읽는 심리 에세이 정체성의 돌봄』 (공저, 드림북, 2019), 『실존적 인간 중심 치료』(공역, 유원북스, 2017), 『영어 딕션 스피치 코칭』(공저, 씨앤톡, 2015), 『선교영어: 입문편』(공저, 씨앤톡, 2014) 등이 있다. 그리심 심리상담 코칭센터에서 연구소 소장으로 영화치료 특화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신애
교육 분야에서 학습 코칭과 1:1 라이프코칭을 하면서 교육, 코칭 수퍼비전, 시네마코칭을 연구하는 프라이밍 코칭랩Priming Coaching Lab 대표이다.
교육에 영화를 활용한 시네마 코칭을 전문으로 하고자 영화를 공부하던 중 앤디황 교수를 만나 영화 심리치료와 시네마 코칭 비전을 공유하며 함께 번역하게 되었다. 이화여대 한국어교육학 석사, 한국코치협회 전문 코치KPC, 연세대학교 인증 스터디라이프 전문코치(YCA 2급)이며, 역서로 『마스터코치의 10가지 중심이론』(공역, 한국수퍼비전아카데미, 2019), 『수퍼비전: 조력전문가를 위한 일곱 눈 모델』 (공역, 한국수퍼비전아카데미, 2019)이 있다.
■ 목차
역자 서문
머리말
기고자
1장. 스토리보드: 영화의 제4의 벽을 ‘영화주의자filmist’가 무너뜨리다
2장. 1막: 서론
3장. 할리우드는 언제 가족을 제대로 이해할 것인가?
4장. 미디어 렌즈로 왜곡된 욕망의 시작 그리고 미국 청소년기의 상실: 누구를 위한 것인가?
5장. 영화로 보는 인생: 성격과 사회적 변화에 대한 종적 연구로서 <49 업UP> 및 <업UP> 시리즈
6장. 영화치료: 영화의 은유를 활용하여 상담과 코칭에서 실제 관계를 탐색하기
7장. 국제 영화: 교육, 커뮤니케이션 및 변화를 위한 영화의 풍부한 정신 건강 자원
8장. 외상과 미디어: 영화는 어떻게 트라우마를 만들고 완화하는가
9장. 영화 속 정신 질환의 통념과 범죄심리학에 미치는 영향
10장. 다양한 렌즈로 장애를 바라보기: 긍정심리학에 의거한 장애 이미지의 재해석
11장. 치유와 변화를 위한 연금술로서의 영화: 심리치료와 코칭에 영화의 힘 활용하기
12장. 해체: 관점 만들기에 대한 관점
13장. 마지막 커튼: 모델로서의 영화
부록: 영화 자료 목록 – 메리 뱅크스 그레거슨 편집
주제별 색인
발간사
역자 소개
■ 출판사 서평 및 특징
영화의 다양한 주제와 장르를 우리 삶의 거울로 삼아 새롭게 해석하고 활용하는 길잡이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은 학교와 잠자는 시간에 이어 엔터테인먼트에 소비하는 시간이 3위를 차지한다. 아동과 부모 모두 미디어가 성에 관한 정보를 얻는 주요 원천이라는 보고도 있다. 미디어, 특히 영화에서 보여주는 가족의 해체와 청소년의 일탈, 특히 10대 사춘기에 경험하는 소년 소녀들의 비뚤어진 성 일탈(성애화)은 미디어의 책임인 동시에 부모의 책임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할리우드에서 생산되는 영화는 캘리포니아 남부의 자유분방한 사고와 개인주의 성향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화적 특성이 영화의 심리적 배경이 되곤 한다. 이처럼 영화는 우리 삶을 비추는 거울이다.
영화는 오래전부터 훌륭한 텍스트 역할을 해왔다. 교육과 치료 영역에서,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 코칭에 접목하여 활발한 연구와 방법론이 제시되고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갖추려는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는 심리학이 크게 기여한 것이 사실이다. 영화를 활용한 심리치료, 정신분석 등 대인관계 조력 전문 분야에서는 역사가 오래되었고, 미디어심리학과 같은 응용 심리학에서는 대중 매체의 영향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비판이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이 책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분과 #46 심리학과 미디어Psychology and the Media 서적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이다. 미국에서 전문적으로 활동하는 미디어심리학자, 라이프 코치, 영화 치료사들이 미국심리학회에 기고한 우수 논물들로 구성된 책이다. 인간이 영화를 통해 추구하는 여러 가지 장르를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영화 속 이야기와 영화 밖 이야기를 통해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게 해준다. 영화라는 미디어를 통해 사람의 마음 이야기를 읽어내고 그 속에 있는 이야기를 들어주고, 지지해주면 그 사람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평온함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느낄 것이다.
미디어심리학자와 라이프 코치들은 자기 분야에서 영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기 원한다. 영화는 치료를 위한 풍부한 보조자료가 될 수 있으며 세션 내 토론을 위한 훌륭한 지침서가 된다.
이 책에서는 영화 보기의 목적적 의도를 충실히 달성하기 위해서 ‘영화주의자filmist’가 될 것을 제안한다. 영화주의자는 스크린과 관객 사이에 펼쳐진 보이지 않는 벽, ‘영화의 제4의 벽’을 허무는 사람이다. 영화주의자는 영화를 그냥 관람하는watch 것이 아니라 제대로 본SEE 다. 이것은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빈 화면으로 시작하는 Start, 주목할 것에 초점을 정하는 Establish, 영화를 보면서 일어났던 자신의 반응을 다른 사람들에게 표현하는 Express가 그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영화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는 영화주의자가 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사랑, 결혼, 가족, 청소년, 아버지 등을 주제로 한 영화를 살펴보면서 시대가 흐르면서 영화가 어떻게 그 주제를 표현하고,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또 영화에서 다루는 정신 건강 관련 이야기가 우리에게 어떤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었는지도 논의한다. 아울러 셀리그만이 창시한 긍정심리학에서 다루는 24가지 덕목을 다루는 영화를 분류하여 핵심 내용과 함께 제시한다. 또 기고자들은 미국 할리우드 영화에만 머물지 않고, 풍부한 텍스트를 제공하는 국제 영화에도 주목하여 장르별로 설명한다.
지금까지 영화를 텍스트로 한 임상 분야의 책들이 많이 나왔지만, 이 책만큼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이처럼 다양한 시각에서 실천적 가이드를 제시한 적은 없다.
이 책을 통해 국내 시네마 코칭 분야가 ‘영화보기와 코칭하기의 유기적 결합’으로 코칭이 더욱 풍성해지고 두텁게 되는 실질적 전기를 맞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