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코치쿠스 26
『ADHD 코칭: 정신건강 전문가와 코치를 위한 안내서』
원제목 : ADHD Coaching: A Guide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지은이 : 프란시스 프레벳, 아비가일 레브리니
옮긴이 : 문은영, 박한나, 가요한
출판사 :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1판1쇄 발행 : 2021. 9. 30.
정 가 : 25,000원
판 형 : 152 X 210(신국판)
분 량 : 392쪽
ISBN : 979-11-89736-30-9 (93180)
■ 책 소개
『ADHD 코칭』은 코칭이 정신건강 영역에서도 유효하다는 답을 제공하는 책이다.
ADHD 증상, 장애 유형, 동반질환 등에 대한 개요와 코칭 접근법의 기본 이론과 원리를 설명하고,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그 효과성을 증명한다. 아울러 코칭 임상에 활용하는 도구와 참고자료들이 풍부하게 실려 있다.
심리치료와 경계를 유지하면서도 실용적, 행동적, 결과 지향적이라는 코칭 접근법만의 특징을 활용하여 코칭의 경계를 확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DHD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정신건강 전문가, 코치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열어주는 책이다.
■ 지은이 소개
프란시스 프레벳
프란시스 프레벳Prevatt 박사는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교육심리학 및 학습시스템학과의 교수이다. 또 수천 명의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ADHD 및 학습 장애 대학생을 평가하고 치료하는 성인학습평가센터ALEC의 디렉터이다. 교육심리학 분야에서 두 권의 책을 냈고 75개가 넘는 출판물의 저자이기도 하다. 저자는 베스트셀러 책인 『Succeeding With Adult ADHD: Daily Strategies to Help You Achieve Your Goals and Manage Your Life』(2012)를 (Abigail Levrini와 함께) 공동 집필했으며, ADHD Coaching(2013)을 사용한 성인 치료 비디오에 출연했다. 프레벳 박사는 ADHD에 관한 국립 자원센터의 전문 자문위원회에 소속해 있다.
아비가일 레브리니
아비가일 레브리니Levrini 박사는 공인 임상심리학자이자, 개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대면, 원격 ADHD 코칭을 전문으로 하는 심리교육 코치Psych Ed Coaches의 소장이다. 그녀는 ADHD에 관한 여러 과학 논문(2008년 논문, ADHD 코칭 및 대학생 포함, 미혼 이름 ‘Reaser’로)을 발표했으며 전국의 전문적인 세팅에서 코칭 모델을 발표했다. 그녀는 Web MD 및 Psych Central과 같은 인기 있는 웹 사이트의 기사를 인터뷰한 ADHD 주제와 관련하여 저명한 전문가이며 주요 기업 및 학회를 위해 수많은 ADHD 기반 웹 캐스트 및 워크숍을 실시했다. 레브리니 박사는 베스트셀러 책인 『Succeeding With Adult ADHD: Daily Strategies to Help Your Goals and Mana』가 있다.
■ 옮긴이 소개
문은영
성균관대학교 약학부를 졸업한 후 제약회사 직원과 약사로 근무하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조직 및 인사선발 전공)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이후 앱 디자이너로 일하면서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학부에서 뉴미디어디자인 학사와 융합디자인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동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서 심리학 석사(M.S.), 심리학 박사(Ph.D.) 통합 학위과정 중이고, 현대정신분석연구소 정신분석가 과정 중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유연하고 적응적인 프로티언 인간Homo Proteus의 정체성과 소명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고, 역서로 『나르시시스트와 직장생활하기: 기업리더들의 성격 장애』(공역,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2020)가 있다.
박한나
한동대학교에서 경영학, 심리학을 복수 전공하였고, 한동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서 심리학 석사(M.S.) 학위를 받은 후, 구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용산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포항시 Wee센터에서 청소년 상담을 전문으로 다년간 임상경험을 하였다. 현재 한동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서 심리학박사(Ph.D.) 과정 중이고, 정서적 방임과 애착 트라우마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가요한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고, 2011년부터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및 대학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심리발달과 영성발달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편집위원장(2016~2022)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 상담사 교육과정의 대상관계이론 강사로 강의하고 있고, 현대정신분석연구소 정신분석가 과정과 보스턴 정신분석대학원(BGSP) 교육분석 중이다. 2019년에 스피리투스SPIRITUS 심리분석연구소를 설립하여 상담, 임상 훈련,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 『심리영성발달의 이해: 호모 스피리투스 되어 가기』(학지사, 2021), 『종교적 경험과 심리』(공저, 학지사, 2018), 『나르시시스트와 직장생활하기: 기업 리더들의 성격장애』(공역,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2020) 등이 있다.
■ 목차
역자 서문
도입
제1부. ADHD 코칭의 기본 원칙과 그 이상의 것들
제1장. ADHD 개요
제2장. ADHD 코칭 개입의 역사와 개요
제3장. ADHD 코칭에서 사용하는 기본 원칙과 절차: 코칭 시작하기
제4장. 코칭 시작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들
제5장. 코칭의 기본적인 사항들 - 해나가기의 문제
제6장. ADHD 코칭의 구체적인 전략들
제7장. 코칭 임상 개발
제2부. ADHD 코칭 사례연구
제8장. 사례연구: 중년과의 ADHD 코칭
제9장. 사례연구: 전문직을 가진 초기 성인 ADHD 코칭
제10장. 사례연구: 실행 기능 결함이 있는 대학생 ADHD 코칭
제11장. 사례연구: 기분 장애 동반질환이 있는 성인 초기의 ADHD 코칭
제12장. 사례연구: 청소년 ADHD코칭
추가적인 자료
참고문헌
색인
저자 및 역자 소개
발간사
■ 출판사 서평 및 특징
실전 코칭에서 직면하는 정신건강 문제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성인 ADHD라는 전문 영역이 새롭게 조망된 지 오래되었다.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조절에 어려움이 있던 어린 시절의 증상을 겪은 후 성인이 되어 관련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주목한다. 원인이 어릴 때 치료적 대처가 미흡했거나 성인이 되고 나서 과도한 스트레스로 보이는 다양한 행동들을 묶어 특별히 범주화해 전문적으로 대처해왔다. 일단 이 영역은 정신건강 전문가 영역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를 질병적 수준으로 보기보다는 일상생활과 조직생활에서 행동 성향으로 이해될 여지가 충분하다는 사실이다. 또 이를 경험하는 사람들에게는 사태의 조기 발견과 일상생활 복귀 후 관리를 새로운 관계 안에서 갖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주변에서도 이를 인지한 사람들이 일상에서 그들과 관계하고 대처하기 위한 세심한 노력과 증상의 정도를 구별해내는 감각이 필요하다. 실전 코칭 현장에서는 ‘겉에서 안으로’ 접촉해 들어가며, 들어갈수록 마주하는 과제가 다양해진다. 이 과정에서 증상symptom과 징후sign를 구별해 알아차리고 필요한 서비스 경계와 안내를 제공해야 한다.
고객이 호소하는 문제presentational problem에는 증상이 포함되어 있다. 자신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신체적, 정서적 상태와 느낌’이기에 당연하다. 정신분석에서 증상은 일반적으로 자각한 신경증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기에 때로는 해석을 제공할 계기로 간주하지만, 병적 관점을 진단하는 분야에서는 질병에 대한 자각으로 간주된다. 또 징후/신호는 비정상을 알리는 제삼자에 의해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한 현상이고 진단의 근거가 된다.
코칭 전문성의 경계를 확장하는 책이다.
코치 역시 고객의 호소를 자신의 전문성 경계 안에서 구별하고 대응해야 한다. 그렇지만 물건을 어디 두었는지 자주 잊거나, 시간을 깜빡하거나, 회의나 담소 중 자기 중심적인 말이나 행동을 맥락 없이 하거나, 지나치게 분노를 드러내는 행동, 성과를 매듭짓기보다는 자기 정서에 빠져 언제나 무nothing로 돌리듯 초기화하는 돌출 행동 등 헤아리기 어려운 증상은 코칭에서 흔한 일이다. 이렇듯 복잡한 증상과 징후를 드러내며 고군분투하는 고객과 함께 구르는 코치에게 이런 상황은 여러 가지 난제가 될 수 있다. 이를 다른 각도에서 보게 하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성인 ADHD 증상과 징후를 임상 현장에서 일단의 전문가들이 일상적 대처를 위해 ‘코칭’ 영역으로 확대해 자신의 연구와 경험을 제시한 것이 이 책이다. 전문 코치로서는 두려움 없이 이 경계로 나아가야 한다. 증상과 징후를 감별하며 코칭적 대처를 제공하고, 전문가와 협력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학습과 전문적 준비가 요구된다. 이미 정신건강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고 코칭 영역으로 확대한 코치는 물론, 행동 수정과 불안에 대처하고 성과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활동해온 코치들에게는 새로운 조망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한다.
ADHD 코칭 도구, 참고자료, 실제 코칭 사례가 풍부하게 제시된다.
이 책에는 실제 ADHD 코치로서 자기 전문성을 사업화하는 지침과 안내에서부터 코칭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와 사용법을 제시한다. ADHD 삶의 수레바퀴, 영감 도구상자, 의사 결정 테이블, 저글링 연습, 과정 연습과 아이젠하워 매트릭스, 계획표, 타이머, 앱, 기술, 그래픽 분류철 같은 것이 그 예들이다.
이 책 후반부에는 5가지 실제 코칭 사례를 코칭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코치가 어떻게 고객의 변화를 만들어내는지 자세히 설명한다. 경력 문제가 있는 성인, 다양한 고민이 있는 전문직 성인, 수행 기능 결함이 있는 대학생, 정신건강 문제가 있는 청년, 학업 문제가 있는 청소년 등 코치들이 현장에서 가장 많이 경험할 수 있는 사례를 다룬다. 코치들은 이러한 사례들을 심층 학습함으로써 자신의 코칭 경계선을 한층 더 확장 가능할 것이다.
■ 본문 내용 중에서···
ADHD로 진단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기능이나 발달을 방해하는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의 지속적인 패턴’이다(미국정신의학회, 2013, p. 61). (19쪽)
ADHD를 가진 사람들 가운데 65~89% 정도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정신건강 장애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ADHD인 성인의 45% 이상이 두 개 이상의 동반되는 정신건강 장애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34쪽)
ADHD 코칭은 약물 치료와 다른 비약물학적 대안적 치료를 보완하는 개입이다. 대부분 프로그램은 주로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접근 방식에 기반을 두며, 특히 계획하기, 시간 관리, 목표 설정, 조직화, 문제 해결과 같은 ADHD의 핵심 장애를 목표로 한다. (44쪽)
세 가지 기본 원칙이 ADHD 코칭을 안내한다. 첫째, 이전 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지행동치료인지행동치료는 우리의 치료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둘째, 심리교육은 우리의 많은 특정 개입을 설명하고 실행하기 위한 틀을 제공한다. 셋째, 실행 기능은 고객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코칭 목표를 세우는 방법이다. (53쪽)
코치는 서비스 지원자들에게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가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불안과 우울증과 같은 문제로 ADHD 코칭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정신건강 문제는 ADHD 증상과 주로 관련된 문제를 작업할 수 있는 고객의 능력을 압도할 정도로 심각해서는 안 된다. (65쪽)
코치는 교사나 부모가 아니다. 코치는 고객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지 않는다. ADHD인 사람들은 자기에게 맞는 전략으로 삶을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효과가 있는 것이 특정 고객에게는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 코치는 제안을 하고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지만, 코치는 주로 고객 스스로가 효과적인 전략과 해결책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77쪽)
ADHD인 사람들은 자기 문제를 교육 환경이나 직장 환경에서 놓여있는 문제점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들을 고쳐져야 할 바로 그 문제점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학교와 직장 세계에서 그들에게 문제가 있지만, 이제는 ADHD인 사람들 대다수가 직장에서 배우거나 소중한 기여를 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부족하지 않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121쪽)
ADHD 삶의 수레바퀴를 사용하면 고객이 주요 영역을 다루고 중요한 문제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더 큰 자기 삶의 사진을 볼 수 있다. (152쪽)
심리학자, 치료사, 상담사로서 우리 교육의 대부분은 우리 직무에 능숙해지는 방법과 고객을 가장 잘 도울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대학원 수업에서 거의 배우지 못하는 것과 우리가 여정을 시작할 때 생각해보지 못하는 것은 생존 가능한 독립적 임상을 어떻게 운영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성공적이면서 독자적으로 생존 가능한 임상 운영을 어떻게 하는지는 대학원 과정에서 거의 배우지 않거나 임상을 시작할 때가 되어서야 생각한다. (161쪽)
명심해야 할 주요 원칙은 당신이 자격증이 있는 정신건강 임상가인데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면 먼저 심리치료사로서 자격관리위원회 원칙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점이다. 당신은 자신을 코치라고 부를 때는 이런 방식으로 행동을 하고, 자신을 치료사라고 부를 때는 저런 방식으로 행동하지는 않을 것이다. 당신의 모든 문서에 자격증 번호를 표시하고, 심리치료 내담자와 마찬가지로 코칭 고객에게 동일한 예방책을 취하는 것이 좋다. (170쪽)
ADHD 코칭과 심리치료 두 가지는 다른 과정이다. 임상에서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어떻게 통합할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85쪽)
성인 고객이 목표를 향해 잘해나가고 있음이 분명해지면, 후반 회기에서는 고객에게 효과가 있었던 것과 그렇지 않았던 것을 점검하는 데 시간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당신의 고객이 영감 도구상자를 만들어서 넣어두었다면, 이제는 그 아이디어들을 다시 꺼내어 그의 영감을 함께 검토할 시간이다. 각 아이디어나 도구가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될지에 관해 이야기해본다. (211쪽)
코치는 미리 코칭 서류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인 예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코치는 이런 서류 작업을 통해 가설을 세우는 것을 선호하지만 이를 회기 내에서 언급하기보다 면담을 통해 고객에게 직접 정보를 얻으려고 한다. 어떤 코치들은 실행 기능 결함을 구체화하기 위해 바클리 실행 기능 결함 척도와 다른 서류를 자세히 조사한다. 대학생의 경우, 대학생 학업 성공 측정 척도가 특히 중요할 수 있다. (263쪽)
코칭의 중반 회기는 (a) 주간 목적(회기 사이 과제BSA)을 통해 장기 목표를 작업해 나가고, (b) 주간 성공을 확인하고 이를 사용하여 다른 작업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장점과 대처 기제를 정의하고, (c) 문제 해결 접근 방식으로 극복할 수 있는 장애물을 확인하며, (d) 보상과 결과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동기부여를 유지하고, (e) 고객이 특정 기술과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우며, (f) 코치의 도움 없이 고객이 스스로 (a)에서 (e)까지를 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하도록 돕는다. (298쪽)
청소년을 코칭할 때, 그 아이가 자기 목표를 어떻게 진행하는지 확인하고(자녀 및 부모 평가를 통해), 어떻게 고객이 자기 부모가 그 과정에 반응하는 것을 믿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대화는, 당신이 주제를 가져왔을 때 고객이 닫기보다는 열 준비가 되었다고 느끼는 경우에 조직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장 좋다. 심지어 일부 십대는 스스로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는데 그게 오히려 더 좋다. (330쪽)
■ 출판사 정보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출판등록 2017년 3월 28일 제 2018-000274호
주소 서울시 마포구 포은로 8길 8 1005호
전자우편 hellojisan@gmail.com
문의전화 010-3753-0135(편집)
영업관리/도서주문 카운트북
전화 070-7670-9080
팩스 070-4105-9080
이메일 countbook@naver.com